콘텐츠 난이도:

pro

면역 폭풍으로 인한 간 손상까지 예측하는 3D 인공 간 모델

이 논문을 주목해야하는 이유

최첨단 바이오의약품, 특히 암을 치료하는 CAR-T 같은 혁신적인 치료제는 놀라운 효과를 보이지만, 때로는 우리 몸의 면역 시스템을 과도하게 자극해 '사이토카인 폭풍'이라는 치명적인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 면역 폭풍은 장기를 공격하는데, 특히 우리 몸의 화학 공장인 간이 주요 표적이 되어 심각한 손상을 입습니다. 문제는 신약 개발 전 단계에서 이런 위험을 미리 예측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점입니다. 동물 실험은 인간과 면역 반응이 달라 한계가 있고, 기존의 세포 실험은 면역계와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제대로 재현하지 못했습니다. 이 논문은 실제 간과 유사한 3차원 환경에 간세포, 혈관세포, 면역세포를 함께 배양한 '미니 인공 간'을 만들어, 신약이 유발할 수 있는 면역 폭풍과 그로 인한 간 손상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는 신약 개발의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높여, 위험한 부작용을 사전에 차단하고 더 안전한 약을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길을 열었기에 매우 중요합니다.

연구 배경

바이오의약품은 특정 질병을 효과적으로 치료하지만, 우리 몸의 면역 체계를 자극하여 예상치 못한 부작용을 낳기도 합니다. 가장 심각한 문제 중 하나는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으로, 면역 세포들이 과도하게 활성화되어 '사이토카인'이라는 신호 물질을 폭발적으로 분비하는 현상입니다. 이 사이토카인 폭풍은 전신에 염증을 일으키고 장기를 손상시키며, 특히 간 기능 저하를 유발해 환자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과거 TGN1412라는 항체 의약품은 동물 실험을 통과했지만, 임상 1상에서 건강한 지원자들에게 치명적인 CRS를 유발하는 비극을 낳았습니다. 이는 기존의 신약 안전성 평가 시스템에 큰 구멍이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현재 사용되는 평가법들은 면역 세포의 반응만 보거나, 간세포의 독성 반응만 보는 등 분리된 상태로 이루어져, 면역계의 공격이 간에 어떤 연쇄 반응을 일으키는지 통합적으로 볼 수 없었습니다. 따라서 연구진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면역계와 간의 상호작용을 실제와 같이 모사하는 새로운 3D 모델 개발에 착수했습니다.

쉽게 이해하기

이 연구는 신약의 위험한 부작용을 미리 알아보기 위한 '고성능 가상 재난 훈련장'을 만든 것과 같습니다.

  1. 훈련장 건설하기

• 연구진은 실제 우리 간처럼 말랑말랑한 특수 젤을 이용해 3D 구조를 만들었습니다. 이 젤의 단단함은 실제 간과 거의 같은 10 파스칼로 조절되었습니다.

• 이 훈련장 안에는 세 종류의 핵심 인원을 배치했습니다.

• 간세포: 간의 핵심 기능을 담당하는 '주요 시설 관리자'.

• 혈관세포: 영양과 신호를 전달하는 '보급로 담당자'.

• 면역세포: 외부 위협에 대응하는 '보안팀'.

  1. 가상 재난 상황 발령

• 연구진은 'Poly'라는 물질을 투입해 가상 위기 상황을 만들었습니다. 이 물질은 바이러스처럼 행동해 면역세포를 강력하게 자극합니다.

  1. 재난 상황 분석

• 보안팀은 예상대로 과민 반응을 보이며 엄청난 양의 경고 신호를 내보냈습니다. 특히 염증을 일으키는 IL-6 수치가 최대 2359 pg/mL까지 치솟는 '사이토카인 폭풍'이 발생했습니다.

• 이 과도한 경고 신호에 시설 관리자들이 압도당했습니다. 간의 핵심 기능인 약물 분해 능력이 60%나 감소하며 사실상 마비 상태에 빠졌습니다.

• 보안팀 내부에서도 변화가 관찰되었습니다. 순찰하던 일반 경비원은 3.65%로 급감한 반면, 흥분해서 염증을 일으키는 공격적인 특수부대가 49.32%까지 급증했습니다.

  1. 위기 대응 훈련

• 연구진은 실제 치료제인 '프레드니솔론'을 투입해 이 사태를 진정시킬 수 있는지 시험했습니다. 그 결과, 사이토카인 수치가 50%까지 감소하고 마비되었던 간 기능도 회복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결론적으로, 이 '미니 인공 간'은 신약이 일으킬 수 있는 면역 폭풍부터 그로 인한 간 기능 마비, 그리고 치료제의 효과까지 총체적으로 시험할 수 있는 매우 정교하고 정확한 예측 플랫폼임을 증명했습니다.

핵심 정리

• 면역 매개 간독성: 우리 몸의 면역 체계가 과도하게 반응하여 간을 공격하고 손상시키는 현상.

•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 바이오의약품 등에 의해 면역 세포가 폭주하여 사이토카인이라는 염증 신호 물질을 과다 분비, 전신에 심각한 손상을 일으키는 부작용.

• 바이오의약품: 세포 배양 등 생물학적 기술을 이용해 만든 의약품. 항체 치료제, CAR-T 세포 치료제 등이 해당됩니다.

• PBMCs : 혈액에 존재하는 면역 세포들의 집합체로, 이 모델에서는 우리 몸의 면역 시스템 역할을 수행합니다.

• Poly: 바이러스의 RNA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 합성 물질로, 면역 체계를 강력하게 자극하여 인위적으로 CRS와 유사한 환경을 만드는 데 사용됩니다.

• CYP450 효소: 간세포에 존재하며 약물이나 독성 물질을 분해하는 핵심 효소. 이 효소의 활성도가 60% 감소했다는 것은 간의 해독 기능이 심각하게 저하되었음을 의미합니다.

• M1 대식세포: 면역 세포의 한 종류로, 염증 반응을 촉진하고 공격적인 성향을 띠는 세포. M1 대식세포의 비율이 49.32%까지 급증한 것은 염증 반응이 격화되었음을 보여주는 핵심 지표입니다.

깊게 이해하기

이 연구의 기술적 깊이는 세 가지 핵심 메커니즘을 하나의 통합 모델에서 성공적으로 구현하고 분석했다는 데 있습니다.

  1. 면역-간 상호작용을 통한 폭발적 염증 증폭
    이 모델의 가장 큰 성과는 면역세포와 간세포 및 혈관세포를 함께 배양했을 때, 각각을 따로 배양했을 때보다 훨씬 강력한 염증 반응이 나타남을 증명한 것입니다. 면역세포에서 분비된 사이토카인은 간세포를 자극하고, 자극받은 간세포 역시 염증 신호를 분비하며 서로 악영향을 주고받는 '염증 증폭 고리'를 형성했습니다. 그 결과, 대표적인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 수치가 2359 pg/mL라는 임상적 CRS에 준하는 수준까지 폭증했습니다. 이는 면역 부작용이 단순히 면역계만의 문제가 아니라, 표적 장기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기하급수적으로 악화된다는 사실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2. 사이토카인 폭풍에 의한 간 대사 기능 억제 메커니즘 규명
    연구진은 RNA 시퀀싱 분석을 통해 사이토카인 폭풍이 어떻게 간 기능을 멈추게 하는지 분자 수준에서 밝혔습니다. 과도한 염증 신호는 간세포의 유전자 발현을 직접적으로 교란시켰습니다. 이로 인해 약물 대사를 담당하는 핵심 효소군인 CYP450 유전자들과, 약물 배출에 관여하는 수송체 유전자들의 발현이 동시에 억제되었습니다. 실제 실험에서도 CYP450의 활성이 60%나 감소한 것이 확인되어, 유전자 수준의 변화가 실제 기능 저하로 이어짐을 입증했습니다. 이는 면역 반응이 간의 핵심 대사 경로를 직접적으로 차단하여 독성을 유발한다는 구체적인 메커니즘을 제시한 것입니다.

  3. 면역세포 변화의 정밀 분석
    단순히 사이토카인 양을 측정하는 것을 넘어, 연구진은 유세포 분석을 통해 면역세포 집단 내부의 질적 변화를 추적했습니다. 면역 자극 후, 염증 반응을 조절하고 순찰하는 역할을 하던 단핵구의 비율은 3.65%로 급격히 감소했습니다. 반면, 이 단핵구들이 강력한 염증 유발 세포인 M1 대식세포로 분화하면서 그 비율이 49.32%까지 치솟았습니다. 이처럼 '평화유지군'이 '공격부대'로 바뀌는 현상을 직접 관찰함으로써, CRS가 악화되는 핵심 동력을 세포 수준에서 규명했습니다. 이 정밀한 분석은 기존 모델에서는 불가능했던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합니다.

연구의 중요성과 차별점

  1. 통합적 시스템 구현
    기존 연구들이 면역 반응이나 간 독성을 따로따로 평가했던 것과 달리, 이 모델은 면역계와 간 조직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해 둘 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과 그 결과를 총체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실제 인체 내에서 일어나는 현상과 가장 가깝습니다.

  2. 높은 생체모사도
    실제 간과 유사한 10 Pa의 부드러운 물리적 환경을 제공하고, 3차원 세포 배양을 통해 세포들이 실제 조직처럼 상호작용하도록 유도했습니다. 이는 딱딱한 플라스틱 접시에서 세포를 키우는 2D 배양법보다 훨씬 정확한 결과를 도출합니다.

  3. 구체적인 독성 메커니즘 규명
    단순히 '독성이 있다/없다'를 넘어, 어떤 사이토카인이 폭증하고, 어떤 간 기능이 얼마나 저하되며, 어떤 면역세포가 어떻게 변하는지 구체적인 데이터로 보여줍니다. 이는 신약 개발자에게 부작용의 원인을 정확히 알려주는 내비게이션 역할을 합니다.

  4. 치료제 평가까지 가능한 확장성
    부작용을 예측하는 데 그치지 않고, 프레드니솔론과 같은 치료제를 투여해 부작용을 완화하는 효과까지 검증했습니다. 이는 신약 후보물질의 위험성 평가와 동시에, 그 위험을 관리할 치료 전략 개발에도 활용될 수 있는 다목적 플랫폼임을 의미합니다.

연구의 활용 가능성

본 연구에서 개발된 3D 인공 간 모델은 신약 개발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혁신적인 플랫폼으로, 다양한 분야에 즉시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이 기술은 신약 후보물질의 면역 독성을 조기에 스크리닝하여 개발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고, 무엇보다 임상시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치명적 사고를 예방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입니다. 또한, 동물 실험을 대체하여 윤리적 문제를 해결하고, 인간 세포 기반의 정확한 데이터로 약물 개발 성공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활용 분야

  1. 신약 개발 및 안전성 평가

• 바이오의약품의 CRS 및 간독성 위험 조기 스크리닝

• 약물 후보물질의 최적 안전 용량 결정

• 면역 부작용 완화 및 치료 약물 개발 및 효능 평가

• 동물 실험 대체 시험법으로 활용

  1. 질병 모델링 및 기전 연구

• 바이러스성 간염, 지방간 등 염증성 간 질환의 발병 기전 연구

• 자가면역질환이 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패혈증 등 전신 염증 반응에 의한 다발성 장기부전 모델링

  1. 환경 독성 및 화학물질 평가

• 미세플라스틱, 환경호르몬 등 유해 화학물질의 면역 독성 및 간독성 평가

• 화학물질과 의약품의 복합 노출에 따른 상호작용 및 독성 증폭 연구

• 화장품, 생활화학제품 원료의 인체 안전성 검증

  1. 맞춤형 의료 및 정밀 독성학

• 환자 유래 세포를 이용해 특정 개인의 약물 민감도 및 부작용 예측

• 개인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 및 약물 추천

• 희귀 면역 질환 환자의 약물 반응성 테스트

  1. 3D 바이오프린팅 및 고도화

• 3D 프린팅 기술과 결합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한 표준화된 독성 평가 칩 개발

• 다른 장기 모델과 연결하는 '다중 장기 칩'으로 확장

• 약물 반응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센서 통합형 스마트 오가노이드 개발

3D liver model for assessing immune-mediated hepatotoxicity from biopharmaceutical risks

Mi-lang Kyun, Duhyeon Park, Hyewon Jung, Ji Hyeon Ryu, Inhye Kim, Seo Yule Jeong, Jeongha Kim, Minseong Jo, Ji-In Kwon, Ju-Kang Kim, Dahong Kim, Su A. Park, Chang Seon Ryu, Sang Kyum Kim, Yu Bin Lee, Daeui Park, Kyoung-Sik Moon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3D liver model for assessing immune-mediated hepatotoxicity from biopharmaceutical risks

Mi-lang Kyun, Duhyeon Park, Hyewon Jung, Ji Hyeon Ryu, Inhye Kim, Seo Yule Jeong, Jeongha Kim, Minseong Jo, Ji-In Kwon, Ju-Kang Kim, Dahong Kim, Su A. Park, Chang Seon Ryu, Sang Kyum Kim, Yu Bin Lee, Daeui Park, Kyoung-Sik Moon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3D liver model, biopharmaceutical risks

무료 서비스 이용 안내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나요?

알앤디써클의 R&D 전문 AI로 논문을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콘텐츠로 무료 생성해드립니다.

당신의 연구 성과를 더 많은 연구자와 다양한
업계 관계자에게 효과적으로 소개해보세요.

알앤디써클의 R&D 전문 AI로 논문을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콘텐츠로

무료 생성해드립니다. 당신의 연구 성과를 더 많은 연구자와 다양한 업계

관계자에게 효과적으로 소개해보세요.

회사

서비스

문의

블로그

무료 체험

회사

서비스

문의

블로그

무료 체험

대표 장재우,이윤구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431, 저스트코타워 4층 대표 전화 010-6312-6417 이메일 info@rndcircle.io

사업자등록번호 458-87-03380 호스팅제공자 아마존 웹 서비스(AWS)

© 2025 RnDcircl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