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난이도:

pro

컴퓨터로 설계한 인공 단백질, 세포 속 질병 유발 '단백질 덩어리'를 녹이다

이 논문을 주목해야하는 이유

우리 몸의 세포는 단백질 품질 관리라는 시스템을 통해 낡거나 잘못 만들어진 단백질을 끊임없이 청소하고 수리합니다. 이 시스템에 문제가 생기면, 불량 단백질들이 서로 뭉쳐 덩어리를 만들고, 이는 암, 알츠하이머병 같은 퇴행성 뇌 질환의 원인이 됩니다. 이 청소 시스템의 핵심 일꾼이 Hsp70이라는 단백질인데, 혼자서는 일하지 못하고 JDP라는 파트너가 "저기 문제가 생겼어!"라고 알려줘야만 출동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과정이 정확히 어떻게 작동하는지 몰라 우리가 원하는 대로 제어하기 어려웠습니다.

이 연구는 컴퓨터 디자인 기술을 이용해 자연에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인공 단백질을 만들어, 이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이 인공 단백질은 기존 JDP보다 Hsp70을 훨씬 강력하게 활성화시키는 '마스터 키' 역할을 합니다. 연구진은 이 마스터 키에 특정 단백질 덩어리를 찾아가는 'GPS'를 부착하여, 세포 내 문제 지점으로 정확히 보냈습니다. 그 결과, 암을 유발하는 단백질 덩어리를 거의 완벽하게 녹여 없애고 암세포의 성장을 4배나 억제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는 우리가 세포의 품질 관리 시스템을 마음대로 조종하여 질병의 원인을 직접 제거할 수 있는 혁신적인 도구를 개발했음을 의미하기에 매우 중요합니다.

한눈에 이해하기

연구 배경

우리 세포 안에서는 단백질들이 제대로 기능하기 위해 정교하게 접히고 관리되는 단백질 품질 관리 시스템이 작동합니다. 이 시스템의 중심에는 Hsp70이라는 '샤페론' 단백질이 있습니다. 샤페론은 잘못 접힌 단백질을 다시 펴주거나 분해하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Hsp70은 JDP라는 보조 단백질의 도움을 받아야만 활성화됩니다. JDP는 문제 단백질을 찾아내 Hsp70을 그곳으로 데려와 스위치를 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최근 많은 질병에서 비정상적인 '세포 내 응축물'이 발견되는데, 이는 단백질들이 막 없이 서로 뭉쳐 형성된 구조물입니다. 과학자들은 이 응축물을 제거하면 질병을 치료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지만, Hsp70 시스템을 특정 응축물에만 정확히 보내 작동시키는 기술이 없었습니다. 이 연구는 바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컴퓨터로 완전히 새로운 맞춤형 JDP를 설계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쉽게 이해하기

이 논문의 핵심은 컴퓨터로 Hsp70을 마음대로 조종할 수 있는 인공 단백질 'JDM37'을 개발한 것입니다.

1. 최고의 파트너를 디자인하다

• 연구진은 Hsp70을 '청소 로봇', JDP를 '활성화 스위치'에 비유했습니다. 기존 스위치는 성능이 그저 그랬기 때문에,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수백만 개의 새로운 스위치 디자인을 만들었습니다.

• 수많은 후보 중 Hsp70에 가장 잘 달라붙고, 가장 강력하게 청소 로봇을 활성화시키는 최고의 디자인 'JDM37'을 찾아냈습니다. 놀랍게도, 아미노산 단 두 개만 다른 'JDM16'은 Hsp70에 붙기만 하고 활성화는 시키지 못하는 '가짜 스위치' 역할을 했습니다. 이는 연구의 정확성을 증명하는 완벽한 비교 대상이 되었습니다.

2. 타겟을 정밀 타격하는 청소 시스템

• 연구진은 JDM37에 특정 단백질을 인식하는 '나노바디'를 결합하여 '응축물 파괴 장치'를 만들었습니다.

• 이 장치를 암을 유발하는 단백질 응축물이 있는 세포에 넣었더니, 나노바디가 정확히 암 단백질 덩어리로 찾아갔습니다.

• 그곳에서 JDM37이 주변의 Hsp70 청소 로봇을 불러 모아 스위치를 켰고, 활성화된 Hsp70은 암 단백질 덩어리를 거의 완벽하게 분해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암 단백질 덩어리가 사라지자 암 신호 전달이 차단되었고, 암세포의 증식 속도가 4분의 1로 줄어들었습니다. 가짜 스위치를 사용했을 때는 아무런 효과가 없었습니다.

핵심 정리

• Hsp70: 세포 내 단백질의 품질을 관리하는 핵심 단백질. 잘못 접힌 단백질을 수리하거나 제거하는 '청소 로봇' 역할을 합니다.

• JDP : Hsp70을 특정 장소로 데려가 활성화시키는 파트너 단백질. '활성화 스위치'와 같습니다.

• De novo 단백질 디자인: 자연에 존재하는 단백질을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를 이용해 완전히 새로운 구조와 기능의 단백질을 처음부터 설계하는 기술입니다.

• JDM : 이 연구에서 de novo 디자인으로 만든 인공 JDP. JDM37은 Hsp70을 활성화시키는 '진짜 스위치', JDM16은 비활성화시키는 '가짜 스위치'입니다.

• 세포 내 응축물: 막 없이 단백질들이 뭉쳐서 형성된 구조물. 암이나 퇴행성 뇌 질환 등에서 비정상적으로 나타나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나노바디: 특정 단백질에만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매우 작은 항체. 원하는 표적으로 다른 분자를 데려가는 'GPS 장치'로 사용됩니다.

깊게 이해하기

이 연구의 기술적 성공은 컴퓨터 설계로 탄생한 JDM37이 Hsp70의 활성을 정교하게 제어하는 두 가지 핵심 메커니즘을 구현했기 때문입니다.

1. Hsp70 활성화 메커니즘의 규명 및 최적화

연구진은 수백만 개의 가상 단백질 구조를 생성하고, 로제타와 알파폴드2 같은 단백질 구조 예측 프로그램을 사용해 Hsp70과의 결합력을 평가했습니다. 최종 선별된 41종의 JDM 중, JDM37은 자연 상태의 JDP와 유사한 수준으로 Hsp70의 ATP 분해 활성을 촉진했습니다. 반면, 아미노산 서열이 단 두 곳만 다른 JDM16은 Hsp70에 결합은 하지만 ATP 분해를 억제하는 길항제로 작용했습니다. 이 발견은 Hsp70 활성화에 특정 아미노산의 위치와 상호작용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결정적 단서가 되었습니다. 또한 JDM37의 Hsp70 결합력은 자연 JDP보다 10배 이상 강해, 훨씬 효율적으로 Hsp70을 동원할 수 있었습니다.

2. 표적 지향적 응축물 분해 시스템 구축 및 기능 검증

JDM37의 실질적 기능을 증명하기 위해, 연구진은 이를 나노바디와 융합한 '응축물 교란기'를 제작했습니다. 이 도구를 암 유발 단백질인 EML4-Alk 응축물이 있는 폐 세포에 적용했을 때, 응축물의 수가 현저히 감소했습니다. 이는 JDM37이 국소적으로 Hsp70을 모집하고 활성화하여 응축물을 구성하는 무질서한 단백질 영역들을 효과적으로 풀어헤쳤음을 시사합니다. 그 결과, 응축물에 의존하던 암 신호 전달 경로의 활성이 감소했으며, 세포 증식이 4배가량 억제되었습니다. 이처럼 특정 응축물을 물리적으로 제거하고 그에 따른 세포의 기능적 변화를 직접 관찰함으로써, 응축물이 단순한 단백질 덩어리가 아닌, 질병을 유발하는 핵심적인 '신호 전달 허브'임을 명확히 증명했습니다.

연구의 중요성과 차별점

1. 세계 최초의 De Novo 설계 Hsp70 활성제

기존 연구들은 자연에 있는 JDP를 변형하는 수준에 머물렀지만, 이 연구는 컴퓨터 계산만으로 완전히 새로운 구조의 Hsp70 활성제를 '창조'했습니다. 이는 단백질 공학 분야의 중요한 기술적 진보입니다.

2. 높은 정밀도와 모듈성을 갖춘 도구

JDM37과 나노바디를 조합한 이 시스템은 '레고 블록'처럼 쉽게 조립하여 원하는 어떤 세포 내 표적이든 공격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정 질병의 원인 단백질만 골라 제거하는 맞춤형 치료 전략의 가능성을 엽니다.

3. 질병의 근본 원인 규명

지금까지는 특정 단백질 응축물이 정말로 질병의 원인인지, 아니면 단순히 결과물인지 명확히 알기 어려웠습니다. 이 기술을 이용해 응축물을 직접 제거하고 세포의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응축물의 생물학적 기능을 직접적으로 증명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연구의 활용 가능성

본 연구의 혁신적인 JDM37 기반 표적 활성 기술은 세포의 단백질 품질 관리 시스템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기존에 접근 불가능했던 질병의 원인을 직접 공략할 수 있는 강력한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이 기술은 특정 단백질 응축물을 거의 완벽하게 분해하는 높은 효율성을 보이며, 표적을 바꾸는 것만으로 다양한 질병에 적용할 수 있는 뛰어난 확장성을 가집니다. 이를 통해 질병의 근본 원인을 규명하고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폭넓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활용 분야

1. 퇴행성 뇌 질환 연구 및 치료: 알츠하이머병의 타우 단백질, 파킨슨병의 알파-시누클레인 등 신경세포에 쌓이는 독성 단백질 응집체를 표적 제거하는 치료제 개발.

2. 항암 치료제 개발: 암 성장을 촉진하는 EML4-Alk나 Ras 같은 종양 단백질 응축물을 분해하여 암 신호 전달을 차단하는 새로운 항암 전략.

3. 세포 생물학 기초 연구: 지금까지 기능이 불분명했던 다양한 세포 내 응축물들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그 역할을 규명하는 핵심 도구로 활용.

4. 노화 관련 질환 연구: 나이가 들면서 기능이 저하되는 단백질 품질 관리 시스템을 인공적으로 강화하여 노화 관련 질병의 진행을 늦추는 연구.

5. 합성 생물학 및 세포 공학: JDM37을 세포 내 다른 단백질과 결합하여 새로운 기능을 수행하는 인공 세포 회로를 설계하거나, 세포의 기능을 원하는 방향으로 제어.

De novo designed Hsp70 activator dissolves intracellular condensates

Jason Z. Zhang, Nathan Greenwood, Jason Hernandez, Josh T. Cuperus, Buwei Huang, Bryan D. Ryder, Christine Queitsch, Jason E. Gestwicki, David Baker

Cell Chemical Biology

De novo designed Hsp70 activator dissolves intracellular condensates

Jason Z. Zhang, Nathan Greenwood, Jason Hernandez, Josh T. Cuperus, Buwei Huang, Bryan D. Ryder, Christine Queitsch, Jason E. Gestwicki, David Baker

Cell Chemical Biology

protein design

무료 서비스 이용 안내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나요?

알앤디써클의 R&D 전문 AI로 논문을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콘텐츠로 무료 생성해드립니다.

당신의 연구 성과를 더 많은 연구자와 다양한
업계 관계자에게 효과적으로 소개해보세요.

알앤디써클의 R&D 전문 AI로 논문을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콘텐츠로

무료 생성해드립니다. 당신의 연구 성과를 더 많은 연구자와 다양한 업계

관계자에게 효과적으로 소개해보세요.

회사

서비스

문의

블로그

서비스 이용

회사

서비스

문의

블로그

서비스 이용

대표 장재우,이윤구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431, 저스트코타워 4층 대표 전화 010-6312-6417 이메일 info@rndcircle.io

사업자등록번호 458-87-03380 호스팅제공자 아마존 웹 서비스(AWS)

© 2025 RnDcircle. All Rights Reserved.

대표 장재우,이윤구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431, 저스트코타워 4층 대표 전화 010-6312-6417 이메일 info@rndcircle.io

사업자등록번호 458-87-03380 호스팅제공자 아마존 웹 서비스(AWS)

© 2025 RnDcircle. All Rights Reserved.

대표 장재우,이윤구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431, 저스트코타워 4층
대표 전화 010-6312-6417 이메일 info@rndcircle.io

사업자등록번호 458-87-03380
호스팅제공자 아마존 웹 서비스(AWS)

© 2025 RnDcircl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