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칭 진행 중
유기계 리튬/소듐 이차전지 양극 소재 최적화 및 상용화 연구
기업 용역 과제 / 정부 과제
소속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미래에너지융합학과
프로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미래에너지융합학과의 Advanced Energy Materials Laboratory (AEML, 한동욱 교수 연구실)은 차세대 이차전지 소재 연구를 중점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리튬이온전지, 소듐이온전지, 리튬금속전지를 포함한 다양한 전지 시스템의 양극 / 음극 소재 개발, 전해질 및 계면 안정화, 고내열성 분리막 및 보호 소재 개발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층상구조, 스피넬, 올리빈, 나시콘 구조의 양극 소재 및 LTO, 하드카본, 리튬메탈 음극 소재에 대해 조성 제어, 구조 안정화, 표면 개질/코팅 기술을 적용하고 있으며, 전해질·SEI 안정화 연구와 폐전지 자원 회수 및 재활용, 전지 소재 전주기 응용 연구까지 확장하여 사업화 역량을 갖춘 연구실입니다.
연구 관심 주제
유기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소재 및 유기계/수계 소듐이차전지용 양극소재
연구 상세 내용
본 연구는 리튬 및 소듐 기반 이차전지의 고성능 양극소재를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주요 전략은 전극 소재의 화학 조성, 결정 구조, 입자 형상, 표면 결합 특성을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전기화학적 충·방전 성능을 극대화하는 것입니다. 리튬이차전지의 경우, 층상 구조(Li₁₊ₓ[NiyCozMn₁−y−z]O₂), 스피넬 구조(LiMn₂O₄, Li[NiyMn₂−y]O₄), 올리빈 구조(Li[MnyFe₁−y]PO₄), 나시콘 구조(Li₃V₂(PO₄)₃, LiTi₂(PO₄)₃) 등 다양한 결정 구조를 포함하며, 각 구조의 안정성 및 수명 향상 기술을 병행 연구합니다. 소듐이차전지의 경우, P2-/O3- 층상구조의 (Fe, Mn)계 산화물과 Prussian Blue / White 계 금속-유기 프레임워크(MOFs)를 주요 대상으로 하여, 수계 및 유기계 전해질 조건에서의 소재 반응성과 장기 안정성을 평가합니다. 이를 통해 고에너지밀도, 고신뢰성, 상용화 가능성을 갖춘 차세대 이차전지용 양극소재의 확보를 목표로 합니다.
협력 희망 분야
리튬이차전지 및 소듐이차전지용 양극소재의 양산 및 사업화 지원을 위한 기업 / 산학협력 과제 수행 파트너
본 주제 관련 연구실 특장점
약 20년 이상 산학연 협력 경험 (삼성전자종합기술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한국자동차연구원 등) 보유하며, 상용 리튬이차전지 및 차세대 소듐이차전지 양극소재에 대한 전주기 기반 기술을 갖춘 전문 연구 개발 역량 보유
협업 희망 방식
정부과제 / 기술이전 / 용역과제 / 자문
협업 파트너 요건
리튬이차전지 및 소듐이차전지 양극소재 기업이거나 산학 협력 과제에 적극 참여할 의지 보유, 소재 위치 무관, 국책과제 공동 제안서 작성 가능
연구 키워드
리튬이차전지
소듐이차전지
양극소재
결정구조 / 제조공정 / 표면처리 / 코팅
층상 / 스피넬 / 올리빈 / 나시콘 구조
